12월 312011
 

  정말 이런 저런 여러가지 일이 있었다. 뭐.. 매년 안그렇겠는가? 매년 여러가지 일이 있었다.

  사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양력’이라든지 ‘음력’과 같은 것도 편의상 만든 것에 불과하다. 물론 양력과 같은 경우 지구의 공전주기를 이용하여 만들어 졌고, 음력과 같은 경우 달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 뿐이다. 물론 음력과 같은 경우 이용할 만한 부분이 밀물,썰물 시기를 알아내는데 밖에 쓰이지 못하기 때문에(달의 이동과 공전주기는 한번 생각해볼 문제다) 계절에 맞추기 위해서 윤달과 같은 복잡한 것을 사용했다 [1]. 음력을 이용하고 있었던 것을 고종 대에 양력을 이용하기 시작함에 따라 바뀌게 된 것이다. 뭐 내 생각이지만, 양력을 더 쓰는 이유는 서양 중심이라는 이유와 달(Month)과 계절이 직접적으로 매치가 되는 양력이 더 우세했으니 쓰였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말이다.

  마찬가지로 AD(서기)나 BC(기원전)이나 단기(2333+AD)나 쇼와xx년 과 같은 경우도 다 비슷한 것이 아닌가? 에티오피아와 같은 경우 완전 다른 달력 시스템을 사용한다 [2].

  12월 25일이 성탄절, 부처님 오신날, 부활절 같은 건 사실 사람이 만든 것이 아닌가? 신은 없을태지만 있다고 가정했을 때, 누구 마음대로 신의 생일을 논한단 말인가? 

  마찬가지로 7일을 한 주로 정한 것은 무엇인가? 이 것도 결론은 사람이 만든 것이다. 종교적 때로는 효율, 다른 국가가 하니까 따라하기 등등의 방법을 통해 7일을 결정한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그레고리력에서 1582년 10월 4일 다음날이 1582년 10월 15일인 것을 알고 있는가 [3]? 그러면 그 자랑스럽다는 성탄절은 어떻게 되는건가? 부활절은 어떻게 되는건가?

  여러분은 사람이 만든 것에 너무 끌려다니시지는 않으십니까? 60년 마다 중국식 년도가 돌아오는 건 아십니까(갑자, 을축, 병인, 정묘, …)? 한주가 9일인 경우, 1년에 4개월 밖에 없는 경우를 상상해 보신적은 있으십니까? 사실 지금이 12월 31일이 아니고 5월 31일이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고정관념을 깨면 더 넓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TED 동영상 추천 드립니다. 쥴리아 스위니의 “하느님을 보내드리기 (내가 느끼는 하느님)”


   
[1]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달력”, 네이버 사전.
[2]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에티오피아력”,http://ko.wikipedia.org/wiki/에티오피아력
[3]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그레고리력”, http://ko.wikipedia.org/wiki/그레고리력

9월 092011
 

부산 김해 간 경전철이 생겼다고 한다[1]. 거기 기사를 보니 경전철이 생긴것은 참 잘된일 같았다. 하지만 마음에 걸리는 것은 공해가 전혀 없는 전기를 사용한다는 부분이였다. 물론 이전에 버스를 이용했었기 때문에 화석연료가 사용되어서 공해가 발생했을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전기는 공해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혀라는 말은 좀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내가 알고있는 전기를 만드는 방법 몇가지를 말하자면, 화력, 원자력, 수력, 풍력, 조력, 지열, 바이오, 인력(?), 태양열 및 태양광 등이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그중 발전설비를 만드는 과정에서의 공해는 무시하더라도 출처가 필요하지만 원자력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원자력이 공해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일단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된다. 에어콘을 많이 쓰는 겨울에는 화력발전소도 가동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는 더더욱 말할 것도 없다. 물론 친환경 발전 설비도 있다. 이는 자연에서 얻어내는 에너지이다.

  그렇다고 했을 때 사람들이 전기가 “전혀”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는다고 말하면 어떻게 될까? 전기를 이용하기 위해 제화를 제공 했으니 그냥 써도 된다고 생각하지 않을까? 그냥 물 사먹듯이 전기를 쓰게되지 않을까? 저전력 제품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단순히 유지비를 줄이려는 목적으로 만들게 된다면 어떨까? 우리가 전기를 아껴야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전기가 만들어 지는 것도 사실은 공짜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나도 물론 잘 못지키는 일이지만, 글을 쓰는 사람은 무언가를 주장하기 이전에 간단한 단어 두글자 ‘전혀’라는 것 하나 만으로도 사람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알려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만 하고, 글을 읽는 사람은 주장하는 바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거의’와 ‘전부’가 별거 없어 보이지만 사실은 엄청 큰 차이가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1] 김상우 기자, “부산-김해 20년만에 경전철 시대, 오전 5시 개통”, 뉴시스, 2011-09-09